데이터 분석

제목

서울시 지하철 역사 펀스테이션(Fun Station) 콘텐츠 발굴 분석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5-11-18T15:39:26.000+00:00

조회수

17

첨부파일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서울시 지하철 역사 펀스테이션(Fun Station) 콘텐츠 발굴 분석

작성: 서울AI재단 기관: 서울AI재단 KEYWORD : 서울시, 지하철 역사, 펀스테이션, 생활권 데이터

본 연구는 서울시 지하철 역사 내 펀스테이션(Fun Station)의 운영 사례를 정량·정성적으로 분석하고, 신규 조성 예정 지하철 역사에 대한 맞춤형 콘텐츠 기획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펀스테이션의 단계적 확산과 이용률 제고를 지원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영문 보고서 명칭) Analysis of Fun Station Content Discovery at Seoul Subway Stations

연구 목적

본 연구의 핵심 목적은 다음과 같다.

  • 기존 펀스테이션 운영 사례에 대한 정량·정성 분석 수행
  • 신규 펀스테이션 조성 예정 지하철 역사에 대한 맞춤형 콘텐츠 기획 전략 수립
  • 펀스테이션의 단계적 확산이용률 제고를 위한 전략적 방향 도출 지원

주요 내용

1. 데이터 기반 생활권·상권 분석

연구진은 다양한 생활권 데이터를 결합하여 5개 지하철 역사별 상권·인구·소비 구조를 진단하였다.

  • 유동인구
  • 거주인구
  • 소비 패턴
  • 카드 매출 등 상권 관련 데이터

위 데이터를 통합 분석함으로써 각 역사별 이용 특성 및 잠재 수요를 도출하였다.

2. 펀스테이션 콘텐츠 방향성 도출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각 역사별 생활 동선과 수요 층을 반영한 지역 맞춤형 펀스테이션 콘텐츠가 발굴되었다.

  • 워라밸(Work–Life Balance)형 콘텐츠: 가산디지털단지
  • 컬쳐업(Culture-up) 콘텐츠: 개포동
  • 스마트스터디(Smart Study) 콘텐츠: 도곡
  • 리차지(Refresh/Recharge) 콘텐츠: 양평
  • 시니어 케어(Senior Care) 콘텐츠: 중계

이를 통해 지하철 역사가 단순 이동 공간을 넘어 생활 밀착형 문화·휴식·학습 거점으로 기능하도록 설계하였다.

보고서 목차

제1장 분석 개요

연구 배경, 목적, 범위 및 방법론을 제시.

제2장 기존 펀스테이션 조성 역사 시민 인식 분석

여의나루, 뚝섬, 먹골역 등 기 조성 펀스테이션에 대한 시민 인식 및 이용 행태를 분석.

제3장 신규 펀스테이션 조성 후보 역사 특성 진단

신규 조성 후보 역사의 상권 및 인구 구조, 생활 패턴, 교통 흐름 등을 진단하여 펀스테이션 도입 적합성을 평가.

제4장 신규 콘텐츠 제안

각 후보 역사별 맞춤형 콘텐츠 방향성과 구체 프로그램을 제안.

제5장 결론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펀스테이션의 단계적 확산 전략과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

부록

세부 데이터 표, 설문 문항, 추가 시각화 자료 등 참고 자료 수록.

문의처

본 연구 및 보고서와 관련한 추가 문의는 아래 담당자에게 연락 가능하다.

서울AI재단
유관기관 및 관련사이트

우)03909 서울특별시 마포구 매봉산로31 에스플렉스센터 스마티움 16층

TEL : 02-570-4600 FAX : 02-570-4605

Copyright©2025 SAIF All rights reserved

[관리자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