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분석

제목

빌라 밀집지역 주거안전 인프라 최적지 분석 : 강북구 편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5-11-18T15:42:18.000+00:00

조회수

14

첨부파일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빌라 밀집지역 주거안전 인프라 최적지 분석 : 강북구 편

작성: 서울AI재단 기관: 서울AI재단 KEYWORD : 강북구, 주거안전, CCTV, 보안등, 비상벨

본 연구는 서울시 강북구 빌라 밀집지역을 대상으로, 이동형 CCTV, 보안등, 비상벨 등 3대 방범 인프라의 설치 수요를 50m 격자 단위로 정밀 분석하고, 격자별 우선 설치 필요 지역(A등급)을 도출한 주거안전 인프라 최적지 분석 보고서이다.

(영문 보고서 명칭) Optimal Site Analysis of Residential Safety Infrastructure in Villa-Dense Areas: Gangbuk-gu

연구 목적

본 연구는 강북구 8개 행정동의 빌라관리사무소 사업지역(총 7개 지역)에 포함된 731개 격자를 대상으로, 이동형 CCTV, 보안등, 비상벨 등 3대 방범 인프라의 설치 수요를 50m 격자 단위로 분석하고 A등급(우선 설치 필요 지역)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강북구 빌라 밀집 지역의 방범 취약 요소 진단
  • 격자 단위 방범 인프라 수요 분석을 통한 설치 우선순위 설정
  • 지자체의 효율적인 예산 배분 및 시설 설치 의사결정 지원

주요 분석 내용

1. 무단투기 CCTV 설치 수요

연구는 2024년 강북구 빌라관리사무소 사업구역 내 무단투기 민원 현장 단속 855건을 분석하여 이동형 CCTV 설치 수요를 도출하였다.

  • 전체 855건 중 약 88% (754건)상위 20% 격자(144개)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남.
  • 특히 번1동, 삼양동, 수유1동 세 지역에서 전체 단속의 약 74%가 발생하여 무단투기 감시용 이동형 CCTV 설치 수요가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됨.

2. 보안등 설치 필요 지역 분석

보안등 설치 필요 점수는 0.5점 ~ 67.6점 구간에 분포하며, 전체적으로는 30점대 구간(24.7점~37.7점)에 가장 많은 격자가 집중되어 있는 형태를 보인다.

  • 점수 분포는 낮은 점수 구간에 격자가 몰려 있고, 높은 점수대로 갈수록 급격히 감소하는 비대칭적 구조를 나타냄.
  • A등급(37.7점 이상, 145개 격자)은 주로 번1동, 수유1동, 삼양동에 다수 분포.
  • 특히 삼양동 주거 밀집 지역 내 일부 격자는 최고 점수를 기록하며, 야간 조도 개선을 위한 보안등 설치의 시급성이 높은 것으로 확인됨.

3. 비상벨 설치 필요 지역 분석

비상벨 설치 필요 점수는 0.5점 ~ 74.8점 사이에 분포하며, 40점대 구간에 가장 많은 격자가 밀집되어 있다.

  • 점수 분포는 고득점 구간에서 급격히 증가하는 우측 비대칭 구조를 보임.
  • A등급(최우선 설치 필요지역, 50.3점 이상)은 총 146개 격자로, 주로 수유3동, 번1동, 수유2동에 집중되어 있음.
  • 최고 점수는 송천동 성북프라자 인근 격자에서 기록되어 긴급 상황 대응을 위한 비상벨 설치의 우선 고려 대상 지역으로 제시됨.

보고서 목차

제1장 분석 개요

연구 배경, 목적, 대상 지역 및 분석 범위, 연구 방법론을 설명한다.

제2장 활용 데이터 및 분석 방법

방범 인프라 수요 분석에 활용한 데이터(민원, 조도, 인구, 시설 등)와 격자 단위 분석 방법론을 제시한다.

제3장 무단투기 단속 위한 이동형 CCTV 우선설치 필요지역

무단투기 민원 및 단속 데이터를 기반으로 이동형 CCTV 우선 설치가 필요한 격자를 도출하고, 공간적 분포 및 특성을 분석한다.

제4장 보안등 우선설치 필요지역

야간 조도, 보행 환경, 범죄·불안 요인 등을 고려해 보안등 설치 우선 격자를 제시하고, 행정동별 특성을 정리한다.

제5장 비상벨 우선설치 필요지역

위급상황 대응 필요성과 인적·물리적 환경을 반영해 비상벨 우선 설치 필요지역을 도출하고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한다.

제6장 요약 및 결론

주요 분석 결과를 요약하고, 강북구 빌라 밀집지역의 주거안전 인프라 확충 방향과 향후 적용·확산 가능성을 제시한다.

부록

세부 통계표, 격자별 점수 분포, 추가 지도 시각화 등 참고 자료를 수록한다.

문의처

본 보고서와 관련한 문의는 아래 담당자에게 연락할 수 있다.

서울AI재단
유관기관 및 관련사이트

우)03909 서울특별시 마포구 매봉산로31 에스플렉스센터 스마티움 16층

TEL : 02-570-4600 FAX : 02-570-4605

Copyright©2025 SAIF All rights reserved

[관리자페이지]